Node.Js

[Node.Js익히기 #0] Node.Js란? - npm프로젝트 개발환경 구축

sonman 2019. 1. 16. 00:08

* 시작하기에 앞서 본 글은 초보 개발자의 글로 설명이 엉성하거나 옳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댓글로 피드백을 주시면 감사히 반영하겠습니다.


# Node.Js란?

node.Js가 무엇인지는 메인 홈페이지(https://nodejs.org/ko/)에 들어가시면 

"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." 라고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.


풀어서 이야기 하면 "크롬의 V8버전의 자바스크립트언어 기반으로 구성된 서버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" 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
즉, Node.Js에는 서버를 내장하고 있어 웹 서버에서 아파치 등의 별도 소프트웨어없이 동작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으며 이로인해 자바스크립트 언어로 웹브라우저를 제어하거나 서버를 제어할 수 있음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어 웹어플리케이션을 더욱 발전시켜주게 된 소프트웨어다 라고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.


Npm프로젝트 개발환경 구축


0.개발환경 : window, vscode


1.Node.Js설치node.Js를 설치하기 위해선 홈페이지(https://nodejs.org/ko/)에 가서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해주시면 됩니다.

(현재 글작성일에는 가장 안정된 버전이 10.15.0 버전이기에 해당버전으로 설치 진행하였습니다.)


(홈페이지 메인화면)

2. npm이Node Packaged Manager의 약자로 node.Js로 만든 모듈들을 관리해주는 툴같은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.

단 몇줄의 명령어로 공개된 nodeJs 모듈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.

(글쓴이는 npm이 Maven과 같은 역활이라고 생각합니다.)


3. npm 시작 : 빈 폴더에 npm init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

1.npm init 실행 : 

2.package Name과 description에 원하는 이름과 설명입력 후 나머지 항목은 enter로 넘어감.


* npm init 항목 설명 

  - name : 프로젝트 명 (default : tests)

  - version : 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버전(default : 자동기입)

  - description : 프로젝트 설명(default : 공백)

  - entry point : 제작할 프로젝트의 시작할 실행 파일을 지정

(default : index.js, 통상적으로 app.js를 많이 씀)

  - test command : 프로젝트 생성 후 테스트로 입력할 메시지

  - git repository : github연결(없는경우 넘어감)

  - keywords : 프로젝트 키워드(default : 공백)

  - author : 프로젝트 작성자(default : 공백)

  - license : 저작권정보(default : ISC)


정상적으로 기입 완료 시 package.json이 생성됩니다.

(글쓴이가 생각하는 Maven의 pom.xml과 같은 역활은 하는 파일.)


이상으로 Npm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한 기본 준비가 됬습니다.


다음으로는 Express를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.